1. Access Control List 란?

 -  허가되지 않은 이용자가 라우터나 네트워크의 특정자원을 접근하려고 하는 것을 차단
 -  Routing Table Update 시 Routing Table 의 어느 부분을 전달하지 않게 하고자 할 때 이를 차단
 -  Access List는 라우터를 경유하는 모든 Packet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  Access List를 적용하면 방화벽 기능과 같은 보안기능을 한다.

2. Access List 사용 원칙

 - 트래픽이 많이 발생되는 것을 제일 위로 올린다. 
   (라우터가 엑세스리스트를 적용 할때, 리스트 상단에 있는 것 부터 계산하는데, 해당 리스트에 패킷이 
    적용을 하여 해당되면 다음 리스트는 계산하지 않으므로,  라우터가 쓸데없는 계산을 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트래픽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항목을 위로 올린다.) 

 - 범위가 적은 것을 먼저 올린다. (좁은 범위 먼저 구성 곧 16비트 보다 24비트를 먼저 올린다.)

 - no access-list 10 하면 모든 list가 삭제 된다.(글로벌모드에서)

3. 종류

1) Standard 
   - IP Packet의 source address(출발지 주소)만을 검사하여 제어 한다. L3 장비에서 적용
   - ACL Number : 1 ~ 99

2) Extended
   - IP Packet의 source, dESTINAtion address, protocol을 검사하여 제어한다. L3 장비에서 적용
   - ACL Number : 101 ~ 199

3) Named - Mac L2 장비에서 적용


4. Wildcard MASK
 - 서브넷 마스크 반대로 보면 됨 (불연속 적으로 사용 할 수있다. 범위를 지정하기가 간편) 

Wildcard Mask 사용하는 이유 : 서브넷마스크보다 간단하게 여러 범위를 표현 할 수 있다.




Standard Access List

1. Standard Access List 특징
 - 엑세스리스트 작성시 덮어서 쓰여지지 않는다. (추가하는데로 계속 추가 됨)
 - 엑세스리스트는 조건이 맞으면 즉시 포워딩 한다.
 - Standard Access List 는 목적지 가까운곳에 구성한다.
    (소스만 보고 패킷을 판단을 하기 때문에, 다른 목적지로 지나가는 패킷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기 위해서)
 - Standard 는 Telnet 제어할 때 쓰이며 그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소스만 보고 판단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2. Standard Access List 의 선언과 적용

  허용선언 : R3(config)#access-list 10 permit 192.168.1.0 0.0.0.255 
                  access-list 10 : 10번 목록을 쓰겠다. 
                  permit (허용한다)
 즉, 192.168.1.0 의 패킷전송을 허용
                  R3(config)#access-list deny any (설정하지 않아도 생략되어 적용 됨)

  거부선언 : R3(config)#access-list 10 deny 192.168.1.0 0.0.0.255
                 access-list 10 : 10번 목록을 쓰겠다. 
                 deny(거부한다) 즉, 192.168.1.0 의 패킷전송을 거부
                R3(config)#access-list permit any (추가로 꼭 설정해야 다른 경로 네트워크가 통과가 허용됨)
                     

 
 적용 : R3(config)# s0/1 (적용할 인터페이스로 이동)
           R3(config-if)#ip access-group 10 in
          라우터로 들어오는 패킷을 제어 = in , 라우터에서 나가는 패킷을 제어 = out
  
   * 스텐다드엑세스리스트 사용시 주의점 
      엑세스리스트는 라우티드프로토콜(ip, tcp, udp등)에만 적용을 한다.
      라우팅프로토콜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라우팅프로토콜은 라우티드 프로토콜에 의해 운반되기
      때문에 RIP같은 디스텐스벡터에서는 광고가 되지 않아 풀커넥티드가 안되는 부작용이 있다.
      그래서 스텐다드 엑세스리스트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Extended Access List 




1.Extended Access List 특징
 - 소스, 목적지, 사용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패킷을 판단 함.
 - 제어하려는 소스 장비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불필요한 계산을 최대한 사전에 막기 위해, 목적지에 가깝게 설치하면 다른 라우터들이 쓸데없이
      일을 하게 된다.)
  
2.Extended Access 선언과 적용

  허용선언 : R3(config)#access-list 101 permit icmp 192.168.1.0 0.0.0.255 192.168.5.0 0.0.0.255
                                                                허용   프로토콜      소스IP                  목적지IP                    
                  access-list 101 : 101번 목록을 쓰겠다. (extended 는 101~200까지 사용)
                  icmp : icmp 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만 제어 한다.(ip, tcp, http, telnet등 )
                  permit (허용한다)
 즉, 192.168.1.0 부터 출발하고 192.168.5.0까지의 패킷전송을 허용
                  R3(config)#access-list deny any (설정하지 않아도 생략되어 적용 됨)

  거부선언 : R3(config)#access-list 101 deny icmp 192.168.1.0 0.0.0.255 192.168.5.0 0.0.0.255 
                                              주소표기 대체 가능  (host 192.168.1.0)      (host 192.168.5.0)    
                 access-list 101 : 101번 목록을 쓰겠다. 
                 deny(거부한다) 즉, 192.168.1.0 부터 출발하고 192.168.5.0까지의 패킷전송을 거부
                R3(config)#access-list permit ip any any (추가로 꼭 설정해야 다른 경로 네트워크가 통과가 허용됨)
                                                           ip를 쓰는 이유는 모든 프로토콜을 대변 하기 때문
             
 
 적용 : R3(config)# s0/1 (적용할 인터페이스로 이동)
           R3(config-if)#ip access-group 10 in
          라우터로 들어오는 패킷을 제어 = in , 라우터에서 나가는 패킷을 제어 = out


3.TELNET 제어 방법 
- 텔넷은 보안적인 측면을 생각할 때 누군가만 허용해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1) 허용 선언 : R1(config)#ACEss-list 101 permit tcp 192.168.3.100 0.0.0.0 any eq23
                                                               프로토콜 제어할 장비주소      텔넷포트

2) 적용 : R1(config-line)#acess-class 101 in 
텔넷은 인터페이스에 설치하지 않는다. vty line 에 설치한다.

group을 쓰지 않고, class를 설치 한다. 왜냐하면 텔넷은 라우터로 들어오는 모든 인터페이스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범위의 class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마다 설치하는 불편을 없앤다.




블로그 이미지

Security_J

,

구글 크롬을 사용하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 웹브라우저 자체에서 확장프로그램을 간편히 설치를 할수가 있습니다. 위젯같은 형식으로 원클릭으로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수있는 크롬의 플러그인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Zenmate 라는 크롬 플러그인에 대해 소개를 해드립니다.
Zenmate는 우회 프로그램 중 하나로 국가자체에서 특정 외국 사이트를 차단을 하여 접속을 못하는 사이트를 국가 아이피가 아닌 외국 아이피로 임시 변경하여 접속을 할 수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치 및 사용법이 간단하여 아래 설명처럼 따라하시면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zenmate-security-privacy/fdcgdnkidjaadafnichfpabhfomcebme


크롬 브라우저에서 링크를 통해 접속하면 zenmate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CHROME에 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이후 권한을 묻는 창이 뜨면 확장 프로그램 추가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주소표시줄 오른편에 방패모양의 Zenmate 아이콘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Email 및 Password 적는 페이지가 자동으로 뜰텐데, 자신의 이메일과 사용할 패스워드를 치시면됩니다. (임의로 아무메일 및 패스워드 치셔도 됩니다.)


이 후 메일인증 ?? 같은거 뜨긴 하는데 무시하셔도 Zenmate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Zenmate 아이콘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맨 하단의 ON으로 되어 있을 경우 Zenmate 실행중입니다.


가운대 홍콩 국기를 눌러 위 화면을 보시면 우회 할 수 있는 나라들을 고를 수 있습니다.


Zenmate아이콘이 초록색으로 되면 트래픽이 정상적으로 암호화되었다는 뜻입니다.
기본값으로 홍콩VPN을 사용하게되고, 가운데 홍콩국기를 누르면 다른 VPN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는 오른쪽 아래의 ON버튼을 눌러 OFF모드 상태(회색 방패)로 사용하시고,


트래픽을 암호화해야하거나, 우회가 필요할 때 다시 ON모드(초록색 방패)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용한 팁들 > 웹브라우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에서 강제로 글꼴 지정하기  (0) 2016.01.08
블로그 이미지

Security_J

,

 

 

 

구글의 크롬(Chrome)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데 기본 글꼴이 굴림이라 눈에 보기 편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글꼴을 나눔고딕이나 맑은 고딕 등 다른 글꼴로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크롬의 환경설정에서 글꼴을 다른 글꼴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웹 페이지에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글꼴을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글꼴로 나오기 때문에 이런 사이트들에서는 환경 설정에서 변경하여도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리 저리 알아보니 몇 가지의 방법을 찾아봤는데 Pig Toolbox라는 확장팩을이용하는게 적당하여 pigtoolbox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PigToolBox는 사실 글꼴 변경 때문이 아니라 여러가지 확장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전부터 사용해 왔던 확장팩입니다.  


pigtoolbox 확장팩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pig-toolbox-super-gesture/oiplkfaidhjklglajdpfehoagkmlcakh




PigToolbox에서 소개하는 기능을 알아볼까요?

마우스 제스쳐, 마우스 휠 제스쳐, Rocker 제스쳐, 수퍼 드래그, 수퍼 원클릭, 사용자 지정 우클릭 메뉴, 사용자 지정 단축키, 로그인폼 자동 채우기, 웹페이지 스크린샷, 강력한 우클릭 막힘 풀기, 구글메일 확인기능
Pig Toolbox 는 강력하고 실용적인 확장 프로그램 입니다.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며 유연하게 크롬을 사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수퍼 제스쳐 (마우스 제스쳐)
알파벳 또는 왼쪽,오른쪽,위,아래 마우스 제스쳐 모드 지원
마우스 휠 제스쳐, Rocker 제스쳐
수퍼 드래그, 수퍼 원클릭
사용자 지정 우클릭 메뉴, 사용자 지정 단축키
강력한 우클릭 막힘 풀기
스크린샷,캡쳐 그리고 공유


탭 더블클릭시 탭 닫기
탭 우클릭하여 탭 닫기
탭에서 마우스휠 사용시 탭 이동하기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상태에서 마우스휠로 탭 이동
주소창에서 엔터를 쳤을 때 URL 새 창으로 열기 
멀티 탭이 포함된 창을 닫을 때 확인하기 
마지막 탭 닫을때 현재 창 닫지 말고 새 탭을 생성
새 탭 열때 자동 앞으로 (마우스 가운데 클릭으로 새 탭 열때 유용)
구글메일 확인 기능
로그인폼 자동 채우기
웹페이지의 이미지나 플래시를 자동저장
복사한 이미지를 바탕화면으로 설정
짧은 URL 주소 만들기
편리한 사전,번역 검색
웹페이지 스타일(폰트,색) 변경
웹페이지 번역
웹으로 문서(pdf,doc,docx,ppt,pps,tiff..) 바로보기
현재 웹사이트의 도메인 정보
네이버 비디오 다운로드 기능


굉장히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웹페이지 스타일(폰트,색)에서글꼴 변경이 가능합니다.


PigToolbox를 설치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pig-toolbox-super-gesture/oiplkfaidhjklglajdpfehoagkmlcakh)
1. 크롬에서 설정 > 확장 프로그램 >  PigToolbox의 옵션을 누릅니다.
2. 옵션에 보면 웹 페이지 스타일(폰트색)이 있습니다.
3. 스타일(폰트, 색) 상세설정을 클릭합니다.

 

 

4. 스타일(폰트, 색) 상세 설정에서 다른 폰트 선택을 누릅니다.

 

 

5. 사용자 지정 폰트에 사용하고자하는 폰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나눔고딕이나 맑은 고딕을 입력하고 추가를 누르면 추가가 됩니다.
전 이미 등록한 상태라 대체 폰트에 맑은 고딕 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추가한 후에는 사용하고자하는 폰트를 선택합니다.
웹 페이지 폰트 사용에 "아니오"를 체크하고 옵션 닫기로 빠져 나옵니다.
예를 하게되면 웹 페이지에서 임의로 설정한 글꼴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그리고 3.에서 "패턴 사용하기"를 체크합니다. 그래야 패턴이 적용됩니다. 특정 사이트를 지정할 수도 있고 모든 사이트에 적용하려면 "*"을 입력합니다.
적용하지 않고자하는 곳이 있다면 "제외할 URL..."에 해당 패턴을 입력합니다. 
리디북스를 자주 사용하는데 특정한 웹 폰트를 사용하여 글자가 깨지는 경우가 있어 리디북스는 해제해 쓰고 있습니다.


이제 설정이 다 되었습니다. 제일 하단에 "저장하기(Alt+F1)"을 눌러 저장하면 적용됩니다.

 


'유용한 팁들 > 웹브라우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우회접속 Zenmate 설치 & 사용법  (0) 2016.01.10
블로그 이미지

Security_J

,